반응형

언젠가 게임엔진을 만들겠다고 헛소리를 한적이 있었다.

그래서인지 계속해서 언리얼 분석에 대한 욕심만 키우고 있었지 실천에 옮기기가 너무 힘들었다.

 

자... 수십번 다운받았던 소스코드를 위해 이곳으로 가자

 

http://api.unrealengine.com/latest/KOR/GettingStarted/DownloadingUnrealEngine/index.html

 

이곳에서 받자! 예전에 비하면 굉장히 편해졌다!

 

항상 남자라면 마스터 브랜치! 라고 하곤 하지만 사실 공부하는 입장에선 안정적인 릴리즈 브랜치하나 정해서 꾸준하게 정리하는게 좋다.

4.20.3 기준으로 분석을 시작한다. 혹시라도 다루는 릴리즈가 버전이 올라가게 되면 변경사항은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겠다!

 

자 git에서 clone 해서 소스코드를 내려받았으면 작업하는 환경이 Windows 이기 때문에 Window개발환경도 적겠다.

빌드용으론 Visual Studio 2017을 사용하고 있고 분석엔 가벼운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하고 있다.

 

위에 소개했던 링크에서 하라는대로 다 하면된다.

 

배치파일(setup.bat) 내부는 몇줄 안되니 분석을 해보자면


echo Engine/Binaries/DotNET/GitDependencies.exe %* >>.git\hooks\post-checkout

 

이 부분으로 봐서  GitDependencies.exe 라는것으로 엔진 툴을 위해 OS 의 dependency를 체크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git에서 가져오는것을 알수 있다.

꽤 시간이 걸리니 커피 한잔하면서 느긋하게 엔진 파일을 다운받자..

 

 

 

다 다운받으면 


/wait Engine\Extras\Redist\en-us\UE4PrereqSetup_x64.exe /quiet


이부분이 실행되는데 quiet 옵션으로 UI가 안뜨고 조용히 설치가 된다. 아마 엔진구동에 필요한 .net이라던가 dxsdk 등이 깔리는것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언리얼 버전을 등록한 후에 setup이 끝난다.


setup이 끝난 후 GenerateProjectFiles.bat파일을 까보면

Engine\Build\BatchFiles 폴더의 GenerateProjectFiles.bat을 실행하라고 나와있는게 보인다.

 

해당 경로의 GenerateProjectFiles.bat 을 까보면 친절하게 주석이 잘 나와있다.

설명을 참조하도록 하자.

이런 배치파일 볼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예외처리를 참 주저리주저리(?) 잘 해놓았다.

귀찮지만 꼭 배우고 넘어가야할 점!!!

 

VS2015를 설치하지 않았지만 필자는 다행해 sin파일이 잘 떨어졌으므로 넘어가도록 하겠다.

 

이런거 하나하나 다 적기엔 시간이 없다!!!

 

UE4.sln 을 Visual Studio로 열어보자!

 

설치편은 여기서 마치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